오늘의 상한가 및 테마분석 – 8월 14일(목),2025

0814상한가

오늘의 상한가 및 사유

 

서흥(008490)23,800원
(+29.77%)
2분기 호실적에 상한가

지투지바이오(456160)93,800원
(+61.72%)
신규 상장 첫날 급등

STX엔진(077970)36,300원
(+27.59%)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한텍(098070)47,000 원
(+21.29%)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탑코미디어(134580)2,150원
(+17.61%)
웹툰 테마 상승 속 2분기 흑자전환에 급등

TP(007980)1,928원
(+15.45%)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제이에스티나(026040)5,510원
(+15.27%)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급등

강스템바이오텍(217730)1,340원
(+14.43%)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글로벌빅파마와 오가노이드 사업 관련 협력 기대감 등에 급등

모비데이즈(363260)1,840원
(+12.75%)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비나텍(126340)32,650원
(+11.24%)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미스터블루(207760)1,782원
(+11.17%)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웹툰 테마 상승 속 급등

후성(093370)5,840원
(+10.61%)
리튬 테마 상승, 자회사 한텍 2분기 실적 호조 속 급등

새빗켐(107600)35,200원
(+10.34%)
리튬 가격 반등 기대감 지속 등에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코스모화학(005420)19,160원
(+10.18%)
리튬 가격 반등 기대감 지속 등에 리튬 테마 상승 속 급등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950210)15,720원
(+10.16%)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24년(06월결산) 사상 최대 연간 매출 달성 등에 급등

HS애드(035000)8,770원
(+10.04%)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 등에 급등

에이블씨엔씨(078520)11,100원
(+9.90%)
2분기 실적 호조에 급등

인디에프(014990)1,540원
(+9.61%)
李 정부 첫 경제전략 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속 급등

일진디스플(020760)1,130원
(+9.39%)
中 OLED 미국서 퇴출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스튜디오미르(408900)4,890원
(+8.67%)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 영화 역대 흥행 2위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강세

코아시아(045970)5,180원
(+8.03%)
2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등에 강 세

 

웹툰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서 네이버웹툰의 모회사인 웹툰 엔터테인먼트(웹툰 엔터)가 월트디즈니와 파트너십을 맺었다는 소식에 81.20% 폭등 마감.

웹툰 엔터는 지난 12일 (현지시간) 장 마감 후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밝힘.

이번 계약에 따라 디즈니와 마블, 스타워즈, 20세기 스튜디오의 인기 지식재산(IP)이 세로 스크롤 방식의 웹툰으로 제작될 예정.

첫 번째 웹툰화 작품으로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어벤져스’, ‘스타워즈’, ‘에이리언’, ‘아주 오래된 이야기’ 등 5편이 선정됐다며, 웹툰 엔터는 영어 앱에 디즈니 전용관을 마련하고 약 100편의 협업 시리즈를 선보일 계획으로 제작에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이 적용된다고 전해짐.

언론에 따르면, 월가에서는 이번 파트너십을 웹툰 플랫폼 가치 상승의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고 전해짐.

투자은행 레이먼드제임스 는 디즈니처럼 까다로운 IP 보유자의 승인을 받은 것은 웹툰 플랫폼의 가치와 독특한 고객층과의 연결성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다른주요 IP 보유자들도 웹툰과 협업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

JP모건 역시 이번 협력이 디즈니의 최대 규모 출판 파트너십 중 하나라고 평가.

 

  •  탑코미디어, 미스터블루, 미투온, 핑거스토리, 와이랩 등 웹툰 테마가 상승.

 

제약/바이오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기술 수출 계약을 통해 2분기 실적에서 뚜렷한 성장세를 기록.

에이비엘바이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757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84억 원)대비 797% 증가한 실적을 올렸으며, 이번 매출은 전액 기술이전 수익으로 지난 5월 글로벌 제약사 GSK로부터 수령한 계약금 약 793억 원이 실적 상승을 견인했음.

유한양행도 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기술료 수익 덕분에 2분기 실적이 대폭 개선됐으며, 잠정 집계 결과 유한양행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90.1% 증가한 456억원, 매출은 5,562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8.1% 증가.

특히, 라이선스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4,502.3% 증가한 255억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짐.

종근당 역시 글로벌 제약사 노바티스 에 기술 수출한 신약 후보물질과 관련해 첫 기술 수출 기술료(마일스톤)를 수령하며 실적 개선에 힘을 실었으며, 종근당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4,296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음.

이와 관련,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플랫폼이나 후보물질의 임상 진전 및 기술 수출 성과가 실적에 긍정적으로 반영되면서, 투자와 후속 개발을 수월하게 하는 선순환을 일으키고 있다”고 설명.

美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등도 바이오 투자심리를 개선시키는 모습.

긍정적으로 작용.

최근 발표된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7월 CPI가 엇갈린 모습을 보였지만, 전품목 수치가 둔화한 만큼 9월 금리 인하는 확실하다는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음.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 에 따르면, 뉴욕증시 장 마감 무렵 연방 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에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93.8%로 반영했으며, 50bp 금리인하(빅컷) 확률도 새롭게 등장하면서 50bp 인하 확률은 6.2%로 반영됐음.

美 정부 인사들이 연방준비제도(Fed)를 겨냥해 금리인하를 계속 압박하는 점 도 금리 인하 기대감을 키우고 있음.

스콧 베선트 美 재무부 장관은 “9월부터 50bp 인하(빅컷)를 시작으로 연속 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밝힘.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경보제약, 부광약품, 에이비엘바이오, 헬릭스미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정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전일 향후 5년간의 국정 청사진을 담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공개한 가운데,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은 국가비전과 3대 국정원칙, 5대 국정목표, 12대 국정과제, 재정지원 계획,입법 추진계획 등으로 구성됐음.

이 가운데 에너지 전환 분야에서는 전국 전력망과 수소·재생에너지 인프라를 연결하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계획을 본격화한다고 알려짐.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새 정부 국정과제 123개를 발표한 가운데, 전국을 5개 권역과 3개 특별자치시도로 재편해, 수도권 1극 체제를 넘겠다는 구상이 담겼음.

지역 맞춤형 미래산업으로 강원도에는 바이 오와 수소에너지, 인공지능 기반 첨단산업을 꼽았으며, 전라남도는 재생에너지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산단’ 전환과 ‘청정수소 에너지 산업벨 트’를 구축으로 석유화학 위기를 극복한다는 구상이 담겼다고 알려짐.

 

  •  두산퓨얼셀, 에스퓨얼셀, 비나텍, SK디앤디, 범한퓨얼셀, 인지컨트롤스 등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등 가격 사상 최대치 돌파 등에 상승

미국의 우호적인 입법 조치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암호화폐 가격이 연일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비트코인 가격은 장중 한때 12만4천달러 선을 돌파했으며, 이더리움 가격도 4,700달러를 돌파하면서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고 있음.

한편, 이날 오후 4시 기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 6,670만원, 이더리움은 650만원 선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이와 관련,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401(k) 계정을 통해 대체자산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며, 실제 법이 개정되는 기간과 운용사들이 상품을 설계하는 데 걸리는 시간 등을 고려하면 2026년 말부터 실제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감성코퍼레이션, 인바이오젠, 티사이언티픽, 위지트, 비트맥스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남북경협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기획재정부가 다음주 공개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남북 경협 준비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구체적인 사업 내용 대신 남북 간 대화 여건이 조성되면 경협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방향성이 담길 것으로 알려짐.

정부가 매년 두 차례 발표하는 경제정책방향에 ‘남북 경협 준비’ 관련 문구가 포함된 것은 2020년 이후 5년 만으로 대북 제재 상황에서도 남북 교류 협력 사업을 사전에 발굴해 한반도 긴장 완화 등 여건이 무르익으면 개성공단을 비롯한 남북경협을 추진해 부진한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임.

정부가 마련 중인 경제성장 전략에는 북미 대화 진전 등 여건이 조성됐을 때 경협을 본격화하기 위한 선제적 준비가 포함된다며, 여건 조성 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으로 개성공단 재가동, 나진·하산 프로젝트, 광역두만개발계획(GTI) 북한 재가입, 한강하구 공동 이용 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음.

이와 관련, 기재부 고위 관계자는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수만 있다면 잠재성장률 3%대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며 “지금 당장 할 수 없어도 상황이 조성되면 언제든지 진행할 수 있도록 경협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힘.

대외경제정책 연구원(KIEP)에 따르면 30년간 개성공단 가동의 누적 경제성장 효과는 159조2,000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짐.

 

  • 제이에 스티나, 인디에프, 신원, 재영솔루텍 등 일부 남북경협 테마가 상승.

 

타이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하락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5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5.36조 원(전년동기대비 +131.66%), 영업이익 3,536.40억원(전년동기대비 -15.80%), 순이익 1,787.52억원(전년동기대비 -44.68%).

특히, 타이어 부문 영업이익은 17.5% 감소한 3,464억 원으로 집계되었음.

글로벌 시장에서의 교체용 및 완성차 브랜드 신차용 타이어 판매 증가,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비중 확대로 매출액은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재료비와 운임비, 미국 자동차 부품 관세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짐.

아울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최대주주 한국앤컴퍼니, 25년 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437.52억원(전년동기대비 -5.43%), 영업이익 738.67억원(전년동기대비 -40.79%), 순이익 565.29억원(전년동기대비 -47.88%).

 

  •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한국앤컴퍼니가 급락

 

  • 넥센, 넥센타이어 등 타이어 테마가 하락.

 


마무리

 

▷네이버웹툰 모회사 웹툰 엔터(+81.20%), 월트디즈니 컴퍼니와 글로벌 콘텐츠 파트너십 체결 소식에 웹툰 테마 상승.

▷주요 제약/바이오 업체 2분기 실적 호조 및 美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제대혈, 탈모 치료, 줄기세포,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비만치료제 등 제약/바이오 테마 상승.

▷정 부, 수소에너지 국정과제 추진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 상승.

▷비트코인 등 가격 사상 최대치 돌파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일부 두나무 테마도 상승.

▷李 정부 첫 경제전략에 ‘남북경협’ 포함 소식 등에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최근 면세점·인천공항 ‘임대료 인하’ 갈등 지속 속 하락했던 면세점 테마 상승.

▷JYP Ent.(+4.76%) 2분기 호실적 발표 속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이 외 리튬, 터치패널, 백신여권, 탄소나노튜브(CNT), 애플페이, 2차전지(생산), NI(네트워크통합), 통신, 원자력발전소 해체, 건강기능식품, 아스콘, 손해보험, 광고,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SI(시스템통합), 육계, 항공기부품, 게임, 건설 대표주, 영상콘텐츠, 유심, 스테이블코인,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패션/의류, 고령화 사회( 노인복지), 폐배터 리, 강관업체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분기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타이어 테마 하락.

▷전일 미국 내 中 OLED 퇴출 전망 속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강세를 나타냈던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 차익 매물 속 하락. LG디스플레이(-10.61%) 급락 속 IT 대표주 등도 하락.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뉴로모픽 반도 체, HBM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한온시스템(-15.51%)이 유상증자 검토 소식에 급락한 가운데, 일부 자동차 대표주 하락.

▷이 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아이폰, 생명보험, 카지노, 핵융합에너지, LED장비, 김밥(냉동김밥 등), 갤럭시 부품주, 스마트카, 밥솥, 뉴 로모픽 반도체, 초전도체, 유리 기판, 해운, 탈 플라스틱, 무선충전기술, 휴대폰부품, PCB(FPCB 등), 피팅(관이음쇠)/밸브, 캐릭터상품, 모더나, 마켓컬리, 폴더블폰,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풍력에너지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