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일 급등주 및 상한가
영풍정밀 (+29.82%)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격화 등에 영풍 그룹주 상승 속 상한가
에프앤가이드 (+29.91%) 2
김군호 전 대표 경영권 분쟁 참전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모비스 (+30.00%) 1
삼성서울병원, 양성자 활용 암치료법 공동연구 진행 소식 속 양성자 가속기 관련 사업 부각에 상한가
엔젠바이오 (+30.00%) 1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혈액암 표적치료제 처방 및 재발예측 ‘NGS 진단’ 제품 출시 소식에 상한가
하이트론 (+29.99%) 1
신약 개발 사업 진출 기대감 지속 및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JW신약 (+24.53%)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및 황태현 교수,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 위암 연구 주도 소식 속 황태현 교수가 공동 설립한 큐어에이아이와 항암세포치료제 공동연구계약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다보링크 (+24.53%)
엔비디아, 무선 네트워크 최적화한 ‘엔비디아 AI 에리얼’ 발표 소식에 5G/ 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이스테크 (+21.86%)
5G/ 통신장비,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360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부각 등에 급등
녹십자웰빙 (+19.57%)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태반주사제 라이넥주, 중국 승인 소식에 급등
SNT다이내믹스 (+19.21%)
이스라엘·헤즈볼라 전면전 우려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넥스트바이오메디컬 (+19.10%)
하부 위장관 출혈 치료 효과 입증 소식에 급등
KBI메탈 (+18.77%)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급등 및 낙폭과대 인식 등에 전선 테마 상승 속 급등
유한양행 (+15.86%)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길리어드 사이언스와 1,076.69억원 규모HIV 치료제 원료의약품(HIV API) 공급계약 체결 등에 급등
제일일렉트릭 (+15.30%)
전력설비 테마 상승 속 美 ‘에너지솔루션 기업’ 이튼 스마트브레이커향 신규 매출 기대감 등에 급등
보령 (+14.86%)
美 금리인하에 따른 글로벌 바이오 M&A 기대감 및 국민연금,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제약/ 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젬백스 (+14.74%)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10월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 ‘GV1001’의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적응증에 대한 임상 2상 톱라인 발표 기대감 지속에 급등
앱클론 (+14.51%)
美 금리인하에 따른 글로벌 바이오 M&A 기대감 및 국민연금,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엔비티 (+14.43%)
B2C 캐시슬라이드 사업 재점화로 연내 손익 턴어라운드 기대감 등에 급등
퓨쳐켐 (+13.91%)
美 금리인하에따른 글로벌 바이오 M&A 기대감 및 국민연금,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JW홀딩스 (+13.87%)
황 태현 교수,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 위암 연구 주도 소식 속 JW신약, 황태현 교수가 공동 설립한 큐어에이아이와 항암세포치료제 공동연구계약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영풍 (+13.77%)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격화 등에 영풍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컴퍼니케이 (+13.70%)
황태현 교수, 美 암 정복 프로젝트 ‘캔서문샷’ 위암 연구 주도 소식 속 연구에 적용되는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보유중인 토모큐브 투자 이력 부각에 급등
STX그린로지스 (+12.00%)
이스라엘·헤즈볼라 전면전 우려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유니온제약 (+10.63%)
美 금리인하에 따른 글로벌 바이오 M&A 기대감 및 국민연금,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오파스넷 (+10.26%)
엔비디아, 무선 네트워크 최적화한 ‘엔비디아 AI 에리얼’ 발표 소식에 5G 테마 상승 속 급등
보로노이 (+9.60%)
美 금리인하에 따른 글로벌 바이오 M&A 기대감 및 국민연금, 제약바이오 투자 확대 소식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흥구석유 (+9.17%)
오는 25일 대왕고래 프로젝트 2차 전략회의 기대감에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9월20일 바이오섹터 주도주
유한양행이 꾸준한 주도주로 주목받고 있다.
금요일이어서 전반적인 시장의 움직임이 주목 받았다.
바이오 섹터는 지속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어제에 이어 유비에스 증권이나 JP모건의 거래가 계속 활발했다.
바이오의 긍정적인 흐름은 계속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경영권 분쟁과 주식 시장 동향
경영권 분쟁은 A후보와 B후보가 지분 확보를 놓고 경쟁하는 중요한 이슈이며, 최근에는 고려아연 관련주들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양측의 지분 매수가 이어지고 있어, 이 흐름이 주식 시세에 영향을 주고 있다.
영풍제지는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으나, 영풍 계열사가 아닌 영풍정밀의 시가총액이 가장 낮은 3000원이다.
또한 유한양행의 경우 길리어드 사이언스와의 단일 판매 공급 계약 체결 소식으로 주도주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으며, 외국인과 기관이 대량으로 매수하고 있다.
주식시장 뉴스와 프로그램 매매
작년에 2차 전지에서 몇 조원 규모의 거래가 발생하며 코스닥 시장이 활기를 띄었다.
특히 에코프로 시리즈에서 4조, 5조원씩 거래가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주도주가 20일선 근처에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유한양행의 4세대 표적 함암제 공동 개발 종료 소식이 악재로 여겨지나, 약효가 좋고 추가 개발이 필요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오늘 프로그램 매매로 인해 투자자들이 대량으로 거래에 참여하였고, 하루 거래량은 1400억원에 달했다.
알테오젠과 유한양행이 각각의 거래량을 보이며 시총 상승세를 보였다.
금리와 바이오주에 대한 최근 동향
현재 금리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며 바이오 분야의 움직임이 긍정적이다.
어제 유비에스증권사와 JP모건이 매수세를 보였고, 유비에스증권사가 27만주 가량 구매한 것으로 기억된다.
키트루다의 3상 종료가 23일 예정되어 있어 선제적 구매인지 내부 정보에 의해 이루어졌는지는 불확실하다.
주요 외국 거래원 중 유비에스증권사가 가장 많이 샀고, 오늘도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는 휴식 상태이며, 바이넥스는 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에이비엘 바이오와 에이프릴, 보로노이가 신고가를 돌파했으며, 리가켐과 오스코텍도 이에 따라 움직이고 있다.
오늘 바이오는 하반기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며, 마이크로소프트와 블랙록의 AI투자로 인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대원전선은 시장에서 눈에 띄는 종목으로 KBI메탈 또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전기차 충전소 관련 뉴스로 힘을 얻었다.
GS 글로벌은 4000원 라운드 피겨를 잘 버텨주며, 한국가스공사가 300억 규모의 매수로 주가를 올렸다.
석유와 해운 산업 이슈와 주가 변동 분석
이외에도 화성밸브와 한선엔지니어링은 안정적인 종목으로 석유 관련 주식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중동 지역의 석유 이슈와 헤즈볼라, 이스라엘의 전면전 관련 내용이 주목 받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국제 항만 노동자 협회가 해운사의 항만 자동화에 반발해 다음 달 파업을 예고하면서 STX 주가가 움직였고, 이에 대한 뉴스는 장 중에 반영되었다.
테슬라 및 자율주행 관련 주식들이 최근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고, 비만 치료제 관련 주식도 상승세를 보였다.
다양한 개별 뉴스가 주가에 영향을 주었지만, 다음 주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만한 뉴스가 부족해 주가가 약세를 보였다.
현재 시장에서 재료 소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바이오주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치테마주와 한동훈 관련주
정치테마에서 한동훈 관련주들이 움직이고 있으며, 오늘 20일 공직 선거법 위반 공판이 예정되어 있다.
이 공판에서 100만원 이상의 판결이 나올 경우 의원직 상실 가능성이 있으며, 금고 이상의 처벌이 나오면 대선 출마가 불가능하다.
정치판에서 이재명 후보에게서 문제가 생기면 후임자로 고려되는 인물들이 없지만, 시장에서는 반사적으로 한동훈 관련주가 상승하고 있다.
이는 시장이 한동훈의 출마시 승리 가능성을 좋게 보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
오늘 시장이 약세로 마무리되었고, 조국 관련주는 잠잠한 상황이다.
현재 한동훈 관련주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 특이하며, 이틀 동안 바이오주들의 움직임이 좋았다.
일본의 금리 동결과 미국 선물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시장 전망이 밝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금투세의 유예나 폐지가 시행되면 시장이 더욱 좋아질 수 있으므로 관심이 필요하다.
전반적으로 변동성이 있는 시장에서 조정과 상승을 번복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런 흐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