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상한가 및 사유
NHN KCP(060250)15,080원
(+30.00%)
전자결제(전자화폐)/핀테크(FinTech) 테마 상승 속 스테이블코인 최대 수혜주 분석 등에 상한가
인포바인(115310)57,000원
(+29.99%)
전자결제(전자화폐) 테마 상승 및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 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발의 소식 속 자사주 비중 상위 종목으로 부각되며 상한가
부국증권(001270)60,600원
(+29.90%)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 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 상한가
매커스(093520)19,790원
(+22.09%)
드론(Drone) 테마 상승 및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속 자사주 비중 상위 종목으로부각되며 급등
조광피혁(004700)78,700원
(+22.02%)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속 자사주 비중 상위 종목으로 부각되며 급등
롯데지주(004990)35,200원
(+20.96%)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 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3,025원
(+18.86%)
이사회 후보자 금융·코인 전문가 구성 소식 등에 급등
신영증권(001720)166,400원
(+17.18%)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웅(003090)27,200원
(+15.74%)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 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성산업(128820)5,300원
(+14.84%)
배당재원 확보 공시 속 급등
뉴엔AI(463020)37,650원
(+14.61%)
신규 상장 사흘째 약 2,000억 건의 국내 최다 수준 데이터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신대양제지(016590)15,170원
(+14.06%)
저PBR관련주로 시장에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이구산업(025820)5,610원
(+13.91%)
트럼프, 구리 관세 50% 부과 예고 속 구리 가격 급등 영향 등에 비철금속 테마 상승 속 급등
일성아이에스(003120)28,450원
(+13.35%)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속 자사주 비중 상위 종목으로 부각되며 급등
상상인증권(001290)809원
(+13.15%)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 급등
키스트론(475430)6,450원
(+12.76%)
트럼프, 구리 관세 50% 부과 예고 속 철심에 구리를 도금한 Cu/Fe 바이메탈 와이어 기술을 통해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일동제약(249420)19,280원
(+12.68%)
한국 경구용 비만치료제 대장주 분석 및 日동전파스 ‘로이히츠보코’ 국내 정식 출시 및 비만치료제 임상1상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솔디펜스(215090)923원
(+12.42%)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30.97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샘표(007540)51,500원
(+11.96%)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케이프(064820)6,800원
(+11.66%)
주요 조선업체 실적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속 급등
YG PLUS(037270)9,920원
(+11.59%)
블랙핑크 신곡 ‘뛰어’ 티저 공개 소식 등에 급등
아이디스홀딩스(054800)12,800원
(+11.50%)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티와이홀딩스(363280)4,180원
(+11.32%)
더불어민주당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잉글우드랩(950140)13,690원
(+11.30%)
국내 화장품 업체 2025년 들어 컨센서스 상향 추세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대신증권(003540)30,200원
(+11.03%)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 급등
미투온(201490)6,900원
(+10.58%)
금융계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점 경쟁 본격화 등에 스테이블코인 테마 상승 속 급등
뱅크웨어글로벌(199480)6,940원
(+10.51%)
금융계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점 경쟁 본격화 등에 스테이블코인 테마 상승 속 급등
한화생명(088350)3,755원
(+10.44%)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생명보험 테마 상승 속 급등
디와이디(219550)478원
(+10.39%)
화장품 및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속 급등
더즌(462860)5,270원
(+10.37%)
금융계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점 경쟁 본격화 등에 스테이블코인 테마 상승 속 급등
지에프씨생명과학(388610)25,000원
(+10.13%)
화장품 테마 상승 속 4세대 엑소좀 스킨부스터 3분기 출시 및 연내 창상피복재 해외 수출 예정 소식에 급등
유화증권(003460)3,165원
(+9.71%)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 급등
넥써쓰(205500)3,530원
(+9.46%)
스테이블코인 테마 상승 및 OGA(소유 가능 게임 자산)특허 보유 기업 ‘원어스라이징'(One Earth Rising)과 파트너십 체결 소식 속 OGA 도입 기대감 등에 급등
SNT다이내믹스(003570)53,300원
(+9.45%)
이재명 대통령, ‘K-방산’ 육성 기대감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급등
코스메카코리아(241710)66,000원
(+9.45%)
화장품 테마 상승 속 2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급등
KG이니시스(035600)12,160원
(+9.35%)
금융계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 점 경쟁 본격화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핀테크(FinTech) 테마 상승 속 급등
현대차증권(001500)9,430원
(+9.27%)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속 급등
인피니트헬스케어(071200)7,220원
(+9.06%)
지정유예로 불성실공시법인 미지정 속 급등
지주사/금융주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상승
국회가 감사위원회위원 선임 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은 상법 개정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더불어민 주당이 자사주 소각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코스피5000 특별위원회 소속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가 발의안을 낼 예정으로 스톡옵션 등 특별한 사유를 제외하곤 자사주 보유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골자임.
김 부대표는 “자사주 오·남용 문제가 심각하다”며 “임직원 보상(스톡옵션) 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기업들이 자사주를 모두 소각하도록 하는 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밝힘.
이어 “자사주를 많이 가진 기업은 법안의 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에 그 기간내에 처분하면 될 것”이라고 언급.
최근 상법 개정안이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다음 단계로 배당소득 분리과세도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한화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배당소득 관련 세금 부담이 줄면 대주주가 배당을 할 인센티브가 높아져 국내 기업들의 배당성향이 상승할 것이고, 부동산 등 다른 자산으로 흘러 들어가던 자금 중 상당량이 주식으로유입되면서 증 시가 활성화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밝힘.
- 대웅, 샘표, 아이디스홀딩스, 하림지주, 노루홀딩스, SK, GS, SK스퀘어 등 지주사, 부국증권, 신영증권, 상상인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금융지주 등 증권,
- 한화생명, 미래에셋생명, 흥국화재, 삼성화재 등 생명/손해보험 등 금융주가 상승.
- 또한, 조광피혁/일성아이에스/매커스/인포바인 등 자사주 비중 상위 종목들도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이재명 대통령, ‘K-방산’ 육성 기대감 등에 상승
이재명 대통령은 전일 ‘방위산업의 날’을 맞아 세계적인 방산 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힘.
이와 관련, 이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제1회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 참석해 “안보 산업에는 우리 국민 의 안전과 일자리 등 민생 두 가지가 겹쳐 있다”며, “정부가 더 투자하고 지원해 세계적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
이어 ‘방산 4대 강국’도약을 위한 방안으로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춘 K-방산 제품 경쟁력 강화, 방위산업 생태계 구축, 정부 간 협력 강화 등 을 제시했음.
교보증권은 LIG넥스원에 대해 25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9,253억 원(YoY +53.0%), 영업이익 1,064억 원(OPM +11.5%)을 기록하여 시장예상치(매출액 8,855억 원, 영업이익 833억 원)를 큰 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호실적 전망 배경은 전 사업 영역에 걸친 국내 개발, 양산사업 매출 증가와 수출 매출 비중 증가 등이라고 분석.
아울러 올해부터 UAE 천궁2 매출인식이 본격화되며 순차적으로 중동 3개국 천궁2 매출 인식이 오버랩 될 것으로 전망.
전일(7일) 언론보도에서 이라크 국방장관이 언급했듯 이라크가 몇 달안에 이라크 향 천궁2 첫 물량을 수령하고 진행률 매출인식에 따라 올해 인식된다면 기존 25~26년 추정치 대비 약 4,850억 원 가량의 추가 매출 업사이드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DS투자증권은 한화시스템에 대해 폴란드 K2 2차, 이라크 천궁-Ⅱ MFR이 하반기 수주잔고에 반영될 전망이라고 언급.
계약 금액은 각각 약 4,000억 원, 1조 1,000억 원으로 예상하며, 폴란드 K2 2차 계약 총 180대 중 K2PL(현지생산)이 63대로 동사는 기존 전투체계에 더해 K2PL의 능동방호시스템 레이다 등 업그레이드용 장비 다수를 수주할 것으로 추정.
이외에도 영국 BAE시스템즈와 SAR 위성, 미국 노스롭그루먼과 대공 방어 시스템, 남아공 밀코르와 UAV AESA 레이다 공급 등과 관련한 MOU를 체결하며 해외 현지 업체의 Supply Chain 에 직접 진입하고 있다고 설명.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8일 (현지시간) 백악관 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한국을 부유한 나라라고 언급하면서 “한국은 자국의 방위비를 스스로 부담해야 한다”고 밝힘.
- SNT다이내믹스, LIG넥스원, 코츠 테크놀로지, 솔디펜스, 풍산홀딩스, 한화시스템, 퍼스텍, 현대로템, 풍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드론(Drone)
한미 드론 산업생태계 공동 조성 소식 등에 상승
정부가 글로벌 공동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한미 드론 산업생태계 공동 조성에 나설 예정. 우주항공청은 오는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2025년 무인이동체산업엑스포(UWC2025) 기간 중에 ‘글로벌 공동 공급망 구축을 위한 2025년 한미 드론 협력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힘.
이번 행사는 트럼프 정부 2 기와 우리의 신정부 출범을 계기로 중요 현안이 되고 있는 한미 통상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미 양국이 드론, UAM 등 UAS에 대한글로벌 공동 공급망 구축을 위해 기획됐음.
특히,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K-드론 기체 공급망 이니셔티브’ 전략을 미국과 공유하고,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
미국 주정부 중 UAS 산업에 가장 특화된 노스다코타주 정부는 중국산 드론 기체 및 부품 대체에 따른 대응책으로 한국과의 생산 개발 분야 협업, 국제공동연구 등 실질적인 협력을 요청 하고 있다고 전해짐.
한편, 에이럭스는 지난 4일 일본 지바현에 본사를 둔 일본 드론 기술 기업 리베라웨어(Liberaware)와 전략적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 에이럭스, 한화시스템, 퍼스텍, 제이씨현시스템, 티쓰리 등 드론(Drone) 테마 가 상승.
조선/ 조선기자재
주요 조선업체 실적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HD현대중공업에 대해 2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4조 756억원(yoy +4.9%, qoq +6.6%), 영업이익 4,502억원(yoy +130.1%, qoq -3.8%, OPM 11.0%)으로 시장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2Q25 누적 상선 수주는 31척, 약 56억불 규모로 연초 목표의 80% 이상을 달성하며 예상 대비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올해 연간 상선 수주 목표 초과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HD한국조선해양에 대해 2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7조 3,992억원(yoy +11.8%, qoq +9.3%), 영업이익 8,478억 원(yoy +125.2%, qoq -1.3%, OPM 11.5%)으로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
이어 주주환원 기조 확대 시 상장 자회사 지분 가치 할인율 축소 및 비상장 자회사 상장 가능성 축소로 지주사 할인율에 대한 제고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힘.
또한, HD현대미포에 대해 2Q25 연결 실적은 매출액 1조 2,428억원(yoy +10.1%, qoq +5.0%), 영업이익 756억원(yoy +333.8%, qoq +10.4%, OPM 6.1%)을 전망.
이는 시장 이익 컨센서스 800 억을 소폭 하회하는 추정치인데, 원/달러 환율 하락으로 40억 가량의 비우호적 효과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하나 조업일수 증가 및 저마진 물량 해소, 믹스 개선에 따른 수익성 개선으로로 대부분 상쇄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
이어 2Q25 누적 28척, 19억불 수주를 기록하며 연간 목표의 절반을 달성했으며, 하반기에도 LNGBV 등 가스선 중심신규 수주가 이어지며 27년 이후 수익성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 HD현대미포, 삼성중공업,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케이프, 태광, HD현대마린엔진, HD현대마린솔루션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비철금속/ 전선
트럼프, 구리 관세 50% 부과 예고 속 구리 가격 급등 영향 등에 상승
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내각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자들에 게 구리 수입품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며 “구리에 대한 관세로 50%를 부과할 것으로예상한다”고 밝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전일 종가보다 17%까지 오르며 기록적인 상승세를 보였고, 종가는 파운드당 5.6855달러를 기록했음.
이는 전일 대비 13.12% 상승한 것으로, 일일 상승률 기준 1989년 이후 최고치라고 전해짐.
이와 관련,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들은 “트럼프의 이번 조치로 뉴욕상품거래소의 구리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면서도 “미국 내 재고가 쌓이면서 단기 충격은 다소 완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음.
- 이구산업, 풍산홀딩스, 대창, 풍산, LS, KBI메탈, 서원, 남선알미늄 등 비철금속/ 전선 테마가 상승.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2분기 영업이익 증가 전망 등에 상승
iM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커버리지 주택주의 2Q25 영업이익은 모두 YoY로 증가할 전망이라며, DL이앤씨가 +214.7% YoY, 현대건설은 +35.3% YoY, HDC현산은 +36.9% YoY, GS건설은 +11.2% YoY가 예상된다고 언급.
2Q24 부진했던 기저효과와전반적인 주택 마진 개선세에 힘입어 YoY, QoQ 모두 긍정적인 흐름이 기대된다고 설명.
아울러 2025년 상반기 부동산 경기는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의 높은 상승률을 제외하고는 모두 부진했고, 최근 대출 규제에 따라 단기적으로 매매 가격 상승 추세도 꺾일 수 있지만, 이를 통해 전반적으로 주택주 주가 조정이 발생하며 Valuation 매력도가 생겼다고 밝힘.
단기적으로 매매 가격, 매매거래량은 냉각될 수 있으나, 여전히 건설주들의 수익성 개 선 기대감, 금리 하락 기조, 건설 경기의 개선(2026년 이후)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특히, 현대건설의 경우 2025년말 불가리아 원전 본계약 등 원전 사업이 구체화되는 등 원전 관련 기대감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여전히 강한 주가 수익률이 예상된다고 밝힘.
- 삼성물산, GS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디와이디, KCC건설, 동부건설, 금호건설, 아이에스동서 등 건설 대표주/건설 중소형 테마가 상승.
화장품
국내 화장품 업체 2025년 들어 컨센서스 상향 추세분석 등에 상승
다올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의 2025E, 2026E 컨센서스영업이익은 2024.01월 이후로 하향되고 있지만, 국내 화장품 업체들은 2025년 들어 컨센서스가 상향 추세에 들면서 글로벌 업체들과 다른 궤를 보이고 있다고 밝힘.
특히, 중국 매출 비중이 높은 LG생활건강의 2025E 컨센서스 영업이익은 5,000억원대로 하향 조정되었으나, 에이피알과 코스맥스, 한국콜마는 2025년 들어 컨센서스가 상향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인디 브랜드와 ODM 업종의 주가 상승은 밸류에이션 상승뿐만 아니라 EPS 상승이 동반되어 주가가 상승되었음을 보여준다고 밝힘.
아울러 2H24는 선제품 수요 둔화와 MOCRA(미국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 시행과 함께 미국 매출 성장이 둔화되었으나, 2H25E에는 유럽과 중동을 중심으로 한 해외 확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기저 효과로 인한 일부 성장 또한 기대된다고 밝힘.
- 에스엠씨지, 잉글우드랩, 한국화장품제조, 달바글로벌 등 화장품테마가 상승.
피팅(관이음쇠)/밸브
글로벌 LNG 및 원전 프로젝트 발주에 따른 수혜 전망에 일부 관련주 상승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 전세계 LNG 공급이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던 조용한 시기를 지나 2H25에는 LNG 프로젝트 공급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분석.
이와 관련, Plaquemines LNG Phase 2단계가 늦여름부터 시운전을 할 예정이며, 캐나다 British Columbia주 키티마트에 있는 LNG 수출 터미널에서도 시운전이 진행될 예정.
또한 추가로 Commonwealth와 CP2프 로젝트, Lake Charles 프로젝트가 최종 승인 확정 이후 본격 발주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이러한 LNG 프로젝트들이 피팅업체들에게 우호적인 수주 여건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전세계적으로 총 440기의 원자로 중 417기가 가동 중이며, 현재 61기의 원자로가 건설중 으로 설비 용량은 63.8GW라고 언급.
원전에서 사용되는 용접용 피팅은 배관시스템의 핵심 부품으로 유체의 흐름을 연결, 전환 제어하는 역할 을 하며 전체 프로젝트의 2% 수준을 차지하는 큰 시장으로, 향후 피팅의 수요도 원전의 발전 용량 증가 및 신규 프로젝트 발주에 따라 피팅업체들의 수주모멘텀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태광, 비엠티, 케이에스피 등 일부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가 상승.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트럼프 대통령,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축소 관련 행정명령 서명 소식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서 선런(-11.43%), 인페이즈에너지(-3.58%), 퍼스트솔라(-6.54%) 등 美 친환경에너지 관련주가 약세를 보임.
이는 트럼프가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축소를 골자로 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음.
- 한화솔루션, OCI홀딩스, OCI, 유니슨, 씨에스윈드, 효성중공업, 동국S&C 등 일부 태양광/풍력에너지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트럼프 행정부, 이르면 이달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 발표 방침 소식 등에 하락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을 이르면 이달 말 발표할 방침임.
트럼프 대통령은 8일 (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주재한 내각 회의에서 취재진에 “우리는 의약품, 반도체, 몇몇 다른 것들(에 대한 관세)을 발표할 것이다.
큰 것들”이라고 밝힘.
반도체에 대한 구체적인 관세율과 발표 시기 및 관세 부과 시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은 반도체에 대해선 이달 말까지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힘.
반도체는 미국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관세 부과를 검토하는 품목으로 무역확 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될 경우 관세 등 적절한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음.
- 삼성전자, HPSP, 한미반도체, 이오테크닉스, 저스템, 피에스케이, 유진테크, 오로스테크놀로지, 두산테스나 등 반도체 테마가 하락.
마무리
▷더불어민주당 김남근 민생수석부대표, 자사주 소각 의무화 관련 법안 발의 소식 등에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지주사 테마가 상승. 인포바인(+29.99%), 조광피혁(+22.02%), 매커스(+22.09%), 일성아이에스(+13.35%) 등 자사주 보유 비중 상위 종목들도 상승.
▷이재명 대통령, ‘K-방산’ 육성 기대감 등에 방위산 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한미 드론 산업생태계 공동 조성 소식 등에 드론(Drone) 테마 상승.
▷주요 조선 업체 실적 성장 지속 전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트럼프, 구리 관세 50% 부과 예고 속 구리 가격 급등 영향 등에 비철 금속/ 전선 테마 상승.
▷2분기 영업이익 증가 전망 등에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국내 화장품 업체 2025년 들어 컨센서스 상향 추세 분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글로벌 LNG 및 원전 프로젝트 발주에 따른 수혜 전망에 일부 피팅(관이음쇠)/ 밸브 테마 상승.
▷’원화 스테이블코인’ 선점 경쟁 본격화 등에 전자결제(전자화폐), 스테이블코인, STO(토큰증권 발행), 핀테크(FinTech) 등 테마 상승.
▷예멘의 후티 반군이 홍해 통과 상선 이틀 연속 공격 소식 등에 정유, LPG, 도시가스 등 에너지 관련주 및 해운, 종합 물류 등 테마 상승.
▷추경 예산안 확정 속 내수시장 활성화 기대감 지속 등에 백화점, 소매유통, 패션/의류, 미용기기, 편의점 등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이 외에 야놀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애플페이, 삼성페이, 페인트, 골판지 제조, 창투사, 냉각시 스템(액침냉각 등), 항공기부품, 초전도체,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클라우드 컴퓨팅, 교육/온라인 교육, 홈쇼핑, 자원개발, 카지노, 광고, 리모델링/인테리어, 모바일솔루션, 육계, 테마파크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트럼프 대통령, 친환경 에너지 보조금 축소 관련 행정명령 서명 소식 등에 일부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하락.
▷트럼프 행정부, 이르면 이달 반도체 관세 부과 계획 발표 방침 소식 등에 HBM(고대역폭메모리), 반도체 대표주(생산),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반도체 장비,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유리 기판, PCB(FPCB 등) 테마도 하락.
▷강관업체, 남-북-러 가스관사업 등 일부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제습기,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日 수출 규제(국산화 등), 공기청정기, 2차전지( 나트륨이온), LED장비, 은행, 남북경 협,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국내 상장 중국기업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