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상한가 및 테마주 분석 – 7월 14일, 월요일, 2025

0714상한가

오늘의 상한가 및 사유

 

퀀타매트릭스(317690)4,550원
(+30.00%)
국책 연구 사업 수주 소식에 상한가

SGA(049470)911원
(+29.96%)
비트코인 12만 2,000달러 돌파, 신고가 재차 경신 등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씨티케이(260930)6,530원
(+29.82%)
화장품 테마 상승, 정부 연내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탈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세종텔레콤(036630)6,670원
(+22.84%)
5G 특화망 사업 스맥에 양도 완료 소식에 급등

한국화장품(123690)10,980원
(+20.39%)
中 시진핑, 방한 기대감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및 K-뷰티 글로벌인기 지속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강원에너지(114190)12,700원
(+17.59%)
SMR 시장 핵심설비 분야 진입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KCTC(009070)7,340원
(+17.44%)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 및 북극항로 정책 기대감 등에 종합 물류 테마 상승 속 급등

케어젠(214370)43,000원
(+16.85%)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경구형 체중감량 건강기능식품 ‘코글루타이드(Korglutide)’, 중동 및 북중미 시장 공급 개시 소식에 급등

스맥(099440)3,945원
(+16.72%)
세종텔레콤 5G 특화망 사업 양수 완료 소식에 급등

애경산업(018250)18,590원
(+14.33%)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인수전 흥행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이녹스(088390)11,430원
(+13.39%)
더불어민주당, 이달 임시국회서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 및 집중투표제 도입 처리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삼륭물산(014970)11,370원
(+13.02%)
정부 연내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스튜디오미르(408900)4,530원
(+11.71%)
시진핑 방한에 따른 한한령 해제 기대감 속 K-콘텐츠 수혜 기대감 부각에 급등

SGA 솔루션즈(184230)725원
(+10.35%)
비트코인 12만2,000달러 돌파, 신고가 재차 경신 등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CJ(001040)174,900원
(+10.00%)
지주사 테마 상승 속 올리브 영 글로벌몰 상반기 매출 70% 증가 소식 등에 급등

비트맥스(377030)5,610원
(+10.00%)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및 비트코인 51.06개 75.73억 원에 양수 속 급등

에너토크(019990)7,660원
(+9.90%)
최대주주 사모펀드로 변경 등에급등

현대지에프홀딩스(005440)10,440원
(+9.89%)
더불어민주당, 이달 임시국회서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 및 집중투표제 도입 처리 소식 등에 지주사 테마 상승 속 급등

삼성화재(000810)518,000원
(+9.51%)
손해보험 테마 상승 속 1분기를 저점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DB증권(016610)10,960원
(+9.27%)
더불어민주당, 이달 임시 국회서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 및 집중투표제 도입 처리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속급등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정부 연내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3일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을 맞아 “정부는 국민의 건강과 안전,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올해 안에 탈 플라스틱 로드맵을 마련하고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힘.

이어 “가장 먼저 내년을 기점으로 먹는샘물과 음료류 페트병에 재생원료 사용을 의무화해 자원이 선순환하는 체계를 구축한다”고 언급.

또한, “산업·의료기기를 제외한 모든 전기전자제품에 대해 제조·수입자가 반드시 회수하고 재활용하도록 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를 구조적으로 줄여나갈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언론에 따르면, 정부와 민간이 함께 폐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활성화를위 한 제도적 개선 논의에 돌입한다고 전해짐.

오는 16일 열리는 ‘제주국제환경플러스포럼’에서 한국환경공단은 관련 내용을 공식 발표할 예정.

이미 국내에서도 2023년부터 연간 1만 톤 이상의 페트(PET)를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재생원료 3% 이상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2030 년까지는 의무 대상자 범위와 사용률을 EU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알려짐.

 

  •  씨티케이, 삼륭물산, 에코플라스틱, 세림B&G, 한국팩키지 등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가 상승.

 

지주사/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더불어민주당, 이달 임시국회서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 및 집중투표제 도입 처리 소식 등에 상승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법안심사제 1소위원회는 지난 11일 공청회를 열고 상법 추가 개정과 관련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음.

국민의힘은 이사의 충실 의무 확대가 담긴 상법 개정안이 통과된 지 2주 만에 추가 개정을 논의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제동을 걸었지만, 더불어민주당은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와 집중투표제 도입을 이르면 오는 23일 임시국회에서 처리하겠다고 예고.

이와 관련, 문진석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여야) 합의가 안 되면 7월 임시국회가 끝날 때까지는 상정해서 통과시킬 것”이라고 밝힘.

이에 더해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자사주 소각 의무화’도 9월 열리는 정기국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전망.

 

  •  CJ, 삼성물산, GS, SK, 코오롱, 하림지주 등 지주사 및 기업은행,

 

  • 신한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 삼성화재, 현대해상, 한화손해보험, 삼성생명, 코리안리 등 손해/생명보험 테마가 상승.

 

소매유통/ 편의점/ 백화점

 

정부 내수 부양정책 본격화 등에 따른 매출 회복 전망 등에 상승

키움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주요 유통 업체의 2분기 기존점 성장률과 영업이익은 대체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할 전망이지만, 소비심리 반등, 금리 인하 누적, 정부의 내수 부양정책 본격화 등에 힘입어 주요 유통 업체들의 매출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

3분기부터는 소비의 기저가 낮아지고, 민생회복지원금(7/21~) 등과 같은 직접적인 소비 진작이 실시되기 때문에 매출 회복 기대감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

편의점을 제외한 주요 유통 업체들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직접적인 사용처는 아니지만, 백화점과 할인점도 2020년의 두 차례 재난지원금 지급 사례처럼 전반적인 소비 회복에 따른 수혜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또한, 할인점은 홈플러스 영업력 약화에 따른 반사수혜도 기대되는 상황으로 9월까지 홈플러스가 새로운 인수자를 찾지 못한다면, 점포 구조조정에 대한 압력이 더욱 커지면서, 경쟁점들의 반사수혜 기 대감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신세계, 현대백화점, GS리테일, 호텔신라, 세이브존I&C, 현대홈쇼핑, 이마트, 롯데쇼핑 등 소매유통/ 편의점/ 백화점 등 내수 관련주가 상승.

 

종합 물류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 및 북극항로 정책 기대감 등에 상승

해양수산부는 부산항 진해신항 정부부문 기반시설 개발사업 착공의 마지막 절차였던 어업보상 약정서 체결을 지난 11일자로 완료했다고 밝힘.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은 선박 대형화,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총 12조 6,000억 원을 투입해 조성하는 역대 최대 항만 개발사업으로 항만 개발 공사에 착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변 어업 환경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지역 어민들에게 어업피해 보상을 진행하며, 이를 위한 어업피해 보상 약정 체결이 완료돼야 한다고 전해짐.

한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 “북극항로를 통해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고, 그 첫 단추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고 관련 기관·주요 해운기업도 유치하겠다”고 밝힘.

 

  •  KCTC, 현대글로비스, SG&G, 동방, 유성티엔에스 등 종합 물류 테마가 상승.

 

  • 현대글로비스는 2 분기 사상 최대 실적 전망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화장품/ 면세점/ 국내 상장 중국기업 등

 

中 시진핑, 방한 기대감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오는 10월~11월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태 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할 것이라고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했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지난 주말 정규재 전 한국경제신문 주필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 대통령이 자신과의 오찬회동에서 이같이 말했다며 발언 내용을 소개했음.

시 진핑 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한중 관계가 나아지고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화장품, 면세점 등 중국 소비 관련주들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모습.

특히, 화장품 업종은 K-뷰티 글로벌 인기 지속및 2분기 호실적 기대감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지난 12일 (현지시간) 전자상거래 데이터 연구 업체인 어도비 애널리틱스(Adobe Analytics)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7월 대규모 할인 행사인 ‘프라임 데이(Prime Day)’ 기간 미 온라인 매출은 241억 달러(33조 2,459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전해짐.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3% 증가한 것으로, 당초 예측치였던 28.4%를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알려짐.

하나증권은 펌텍코리아에 대해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4천억 원(YoY+18%), 영업이익 603억 원(YoY+25%, 영업이익률 15%) 전망되며, 역대 최대 실적이 기대된다고 밝힘.

아울러 코스맥스에 대해 2025년 실적은 연결 매출 2.5조 원(YoY+17%), 영업이익 2.4천억 원(YoY+35%, 영업이익률 9%) 전망되며, 역대 최대 실적 기대된다고 밝힘.

 

  •  한국화장품, 코리아나, 에이피알, 펌텍코리아, 코스맥스, 토니모리, 호텔신라 등 화장품/ 면세점 등 일부 중국 소비 관련주

 

  • 오가닉티코스메틱, GRT, 헝셩그룹 등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가 상승.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비트코인 12만 2,000달러 돌파, 신고가 재차 경신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오후 4시 기준 24시간전 대비 3% 넘게 상승한 12만 2,130달러선에서 거래되고 있음.

업비트와 빗썸에선 1억 6,560만원선에서 거래중.

지난주 11만 2,000달러를 사상 처음 돌파했던 비트코인은 상승세를 이어가며 전일 11만 9,000 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이날 12만 2,000달러 선을 넘어서며 또 다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음.

이러한 상승세는 美 의회의 ‘크립토 위크'(Crypto Week)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美 하원이 이번 주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인 지니어스(GENIUS) 법안 등 3개 의 가상화폐 법안을 다룰 예정.

이들 법안 통과 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친(親)암호화폐 정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고 있음.

 

  •  SGA, SGA솔루션즈, 비트맥스, 티사이언티픽, 위지트 등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글로벌 방위비 증대 기조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

교보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NATO 유럽국 & 캐나다의 국방비는 24~35년 CAGR 7.1%의 성장이 기대된다고 밝힘.

기간별 글로벌 방위비 지출의 CAGR을 살펴보면 77~92년 냉전시기 방위비 지출의 CAGR은 6.6%, 냉전 해제 후 평화배당 시기인 93~99년 0.4%를 기록했으며, 01년 9.11테러, 07년 러시아의 CFE(유럽안보협력회의(CSCE)에서 체결된 유럽 재래식무기 감축조약 일방적 이행정지등의 사건으로 인해 00~13년까지 6.3%를 기록했다고 밝힘.

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전 21년까지 +2.1%, 22 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로 22~24년 3.4%를 기록했음을 참고하면 유래 없는 군비 무장의 시대로 돌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

아울러 중동지역의 교체수요만 687억 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힘.

최근 무기 수입국의 최대 관심사가 기술이전과 현지생산인 반면,미국과 독일 등 주요 경쟁 국가들은 전략적 무기나 핵심 기술 이전에는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고, 대부분 조립, 유지보수 정비능력, 라이센스 생산 정도에 그칠 것으로 판단되기에 한국 방산업체에게 우호적인 시장일 것으로 분석.

 

  •  퍼스텍, 휴니드, 엠앤씨솔 루션, LIG넥스원, 한일단조, 현대로템 등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가 상승.

스테이블코인 관련주

 

주요국 중앙은행, 스테이블코인 확대 우려 속 하락

언론에 따르면, 글로벌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스테이블코인이 법정화폐를 대체할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미국의 경우 스테이블코인이 현금과 미국 단기국채 등을 준비자산으로 삼아, 코인을 발행할수록 민간의 통화 발행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유효성을 약화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러한 흐름은 금융시스템 불안을 자극할 수 있으며, 적정한 규제가 없을 경우 이용자 보호도 취약해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음.

이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은 스테이블코인을 ‘은행 예금의 디지털 형태’로 간주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은행은 지급결제보고서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이 지급 수단으로서 성격이 강한 만큼 거래 규모와 국내 유출입 현황 등 상세한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음.

아울러 영국 중앙은행 총재 앤드류 베일리는 세계 최대 은행들에게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중단하라고 경고하고 나섰으며, 영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 자산이 금융 안정성과 화폐 자체의 본질을 위협한다고 비난한 것으로 전해졌음.

 

  •  미투온, 카카오페이, 아이티센글로벌, 다날, NHN KCP 등 스테이블코인/전자결제(전자화폐)/STO(토큰증권 발행)/NFT(대체불 가토큰)/핀테크(FinTech) 등 스테이블코인 관련 테마가 하락.


마무리

 

▷정부 연내 탈 플라스틱 로드맵 발표 기대감 지속 등에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더불어민주당, 이달 임시국회서 분리선출 감사위원 확대 및 집중투표제 도입 처리 소식 등에 지주사/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테마 상승.

▷정부 내수 부양정책 본격화 등에 따른 매출 회복 전망 등에 소매유통/ 편의점/ 백화점 테마 상승.

▷부산항 진해신항 개발사업 및 북극항로 정책 기대감 등에 종합 물류 테마상승. 해운 테마도 상승.

▷中 시진핑, 방한 기대감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등에 화장품/ 면세점/ 항공/저가 항공사(LCC) 등 일부중국 소비 관련주 및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상승.

▷비트코인 12만2,000달러 돌파, 신고가 재차 경신 등에 일부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글로벌 방위비 증대 기조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엔비디아 사상 최고치 행진 속 일부 반도체 대표주(생산) 테마 상승.

▷이 외 백신여권, 홈쇼핑, 렌터카, 자동차 대표주, 모더나, 종합상사, 밸류업, 콜드체인(저온 유통), 타이어, 공작기계, mRNA, 정유, 제지, 코로나19(진단키트), 페인트, 스마트카, 전기차 화재 방지(배터리열폭주 등), 요소수, 모듈러주택, 리튬, 주류업, 코리아 밸류업 지수, 통신, 시멘트/레미콘, 교육/온라인 교육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주요국 중앙은행, 스테이블코인 확대 우려 속 스테이블코인/ 전자결제(전자화폐)/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핀테크(FinTech) 등 테마 하락.

▷새정부 정책 기대감에 부각됐던 웹툰, 지역화폐, 퓨리오사AI, 인터넷 대표주, AI 챗봇(챗GPT 등), 출산장려정책 등 테마 하락.

▷美 양자컴퓨팅 관련주 급락 속 양자암호/양자컴퓨팅 테마 하락.

▷HBM, 3D 낸드, CXL,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장 비 등 일부 반도체 테마 하락.

▷ 이 외 애플페이,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면역항암제, 핀테크, 전선, 삼성페이, 모바 일솔루션, 4대강 복원, 딥페이크, NI(네트워크통합), 해저터널, 게임, 모바일게임, SNS, 원자력발전소 해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키오스크, 일자리(취업), 메타버스, 슈퍼박테리아, 화학섬유, 전력설비,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터치패널, 유전자 치료제/분석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