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상한가 및 사유
콜마비앤에이치(200130)17,700 원
(+29.96%)
경영권 분쟁 격화 등 에 상한가
아이비젼웍스(469750)1,370원
(+22.76%)
산업부-KEIT 주관 AI 팩토리 전문기업 선정 소식에 급등
누보(332290)1,719원
(+17.26%)
‘하이코트’ 코팅비료, 우량비료 지정 속 내달 우크라이나 선적 기대감 등에 급등
우양(103840)5,380원
(+14.23%)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에 따른 김밥 글로벌 인기 지속부각 등에 김밥(냉동김밥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제이스코홀딩스(023440)1,813원
(+11.84%)
양극재 핵심소재 니켈, 필리핀 광산 첫 물량 선적 임박 소식에 급등
아진산업(013310)3,600원
(+11.80%)
2분기 호실적 모멘텀 지속에 급등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347740)3,130원
(+11.59%)
2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 기록 및 연간 기준 최대 실적 기대감 지속에 급등
미투온(201490)6,360원
(+10.99%)
미투온그룹, 넷플릭스 제작 확정작 2편 방영 예정 속 글로벌 OTT 기 업과 파트너십 구축 가능성 부각에 급등
누리플랜(069140)2,265원
(+9.42%)
2분기 실적 호조 모멘텀 지속에 급등
콜마홀딩스(024720)14,230원
(+8.71%)
콜마홀딩스그룹 경영권 분쟁 격화 소식에 강세
라온텍(418420)5,630원
(+8.48%)
150억원 규모의 사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모멘텀 지속에 강세
아모텍(052710)12,200원
(+7.96%)
3분기 실적 개선 전망 등에 강세
한국철강(104700)10,040원
(+7.84%)
15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에 강세
일동제약(249420)22,800원
(+7.04%)
일동제약그룹, ‘공동 개발’ 전략을 통한 글로벌 신약 경쟁력 강화 기대감 부각에 강세
김밥(냉동김밥 등)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에 따른 김밥 글로벌 인기 지속 부각 등에 상승
최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에서 김밥을 먹는 장면이 나오면서, 한국의 김밥이 전세계적으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음.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공개 9주 차에 다시 넷플릭스 영화 시청 주간 1위 자리를 되찾았음.
넷플릭스공식 사이트 투둠에 따르면, 8월 11∼17일 ‘케이팝 데몬 헌터스’ 시청 수는 2,600만으로, 넷플릭스 영어·비영어 영화를 통틀어 1위를 기록.
매주 2,000만이 넘는 시청 수를 달 성하면서 넷플릭스 영화 부문 역대 1위 자리도 눈앞에 두게 됐음.
- 우양, 한성기업, 풀무원 등 김밥(냉동김밥 등) 테마가 상승.
전력설비/ 전선
트럼프 행정부,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 범위에변압기 등 확대 적용 공식화 소식 등에 하락
트럼프 행정부 가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적용되는 50% 관세 범위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공식화했음.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19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품목 관세가 적용되는 철강·알루미늄 파생 제품을 407개 더 추가했다”며 “이들 제품의 철강·알루미늄 함량에 50%의 관세율이 적용되는 것”이라고 밝힘.
여기에는 변압기·엘리베이터·냉장고·냉동고·전선 등이 대거 포함.
미국의 이번 조처로 인해 냉장·냉동고, 자동차 부품, 엘리베이터, 변압기, 트랙터 부품·엔진, 전선·케이블 등 한국의 관련 산업계도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
특히, 한국무역협회는 지난해에만 미국이 6억 달러어치를 수입한 변압기 부문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음.
외신에 따르면, 샘알트먼 오픈AI CEO가 기자 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산업에 거품이 끼었을 수 있다고 인정한 것으로 전해짐.
알트먼 CEO는 “투자자들이 인공지능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인공지능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밝힘.
- LS에코에너지, LS ELECTRIC, 가온전선, LS마린솔루션, 비츠로시스, 제일일렉트릭,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대원전선 등 전력설비/전선 테마가 하락.
원자력발전
체코 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 지속 속 美·유럽 등 해외 수주 차단 우려 부각 등에 하락
윤석열 정부가 체코 원자력발전소 수주를 성사시키기 위해 미국 원전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C)와 불평등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관련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체코 원자력발전소 수주과정에서 한국수력원자력이 미국 원전 기업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합의로 북미, 유럽, 일본, 영국, 우크라이나 시장에 진출할 수 없게 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해짐.
특히, 해당 국가에는 웨스팅하우스만 수주에 나설 수 있고 한수원은 중동,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 신규 원전 수주 활동을 할 수 있다고 알려짐.
다만, 전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 출석한 황주호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미국 원전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C)와 불리한 계약을 맺었다는 보도와 관련해 “불리한이라는 단어에 대해 동의를 못 하겠다”며, “감내하고도 이익을 남길 만하다”고 반박했음.
- 성광벤드, 일진파워, 한전산업, 현대건설, 한전기술, 두산에너빌리티, 보성파워텍, 지투파워 등 원자력발전 테마가 하락.
반도체 관련주
‘AI 거품론’ 제기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외신에 따르면, 샘 알트먼 오픈AI CEO가 기자 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산업에 거품이 끼었을 수 있다고 인정한 것으로 전해짐.
알트먼 CEO는 “투자자들이 인공지능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인공지능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밝힘.
이에 지난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1.81% 약세를 보였으며, 엔비디아(-3.50%), AMD(-5.44%), 브로드컴(-3.55%), ARM(-5.00%), 마이크론 테크놀로지(-1.21%), 퀄컴(-1.67%) 등이 동반 하락.
- SK하이닉스, DB 하이텍, 한화비전, 와이씨켐, 미래반도체, 한미반도체, 테크윙, 케이씨텍, 마이크로투나노, 파두, 퀄리타스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주가 하락.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비트코인 가격 11만3천달러 선으로후퇴 등에 하락
지난밤 美 증시에서 기술주 전반에 대한 매도세가 이어진 가운데, 비트코인 등가상화폐 가격도 하락세를 보이면서 관련주들의 주가가 약세를 나타냈음.
이는 금리인하 기대감이 일부 후퇴하면서 투자자들이 위험자산 회피에 나섰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되고 있음.
이에 코인베이스(-5.82%), 마라 홀딩스(-5.72%), 마이크로스트래티지(-7.43%) 등 가상화폐 관련주들이 하락세를 기록.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전일대비 약 1% 가량 하락한 11만 3천 달러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비트코인 가격이 1억 5,900만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음.
- 티사이언티픽, SBI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한화투자증권, 우리기술투자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두나무(Dunamu) 테마가 하락.
스테이블코인 등
한국은행, 국회에 달러 스테이블코인 규제 강화 촉구 소식 속 하락
한국은행이 달러 스테이블코인 확산으로 통화 주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국회에 규제 강화를 촉구했음.
대표적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인 서클 대표가 국내 시중은행 경영진 등과 릴레이 면담을 앞둔 시점에 나온 요청이어서 주목되고 있음.
한은은 이날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실에 제출한 서면 답변에서 “현재 국내에서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유통되고 있어 외환 규제 회피 등의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
이어 “정부와 국회의 외국환거래법 등에 대한 법률 개정 논의가 시급하다”고 강조.
특히, “달러스테이블코인 확산시 통화 대체 현상을 통해 통화정책 유효성과 통화 주권에 부정적 영향이 초래될 수 있다”고 우려했음.
향후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규제하기 위해 한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이 참여하는 합의제 기반의 정책협의기구를 법정 기구로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도 밝힘.
- 헥토파이낸셜, 아이티센글로벌, 더즌, 핑거, 아톤, 카카오페이, 쿠콘, LG씨엔에스, 다날 등 스테이블코인/전자결제(전자화폐)/SI(시스템통합),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STO(토큰증권 발행) 등 테마가 하락.
음식료업종
K푸드 대미 수출 감소 소식에 하락
한국무역통계 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과자등 가공식품을 포함한 농식품 대미 수출 금액은 1억 3천 900만 달러(약 1천 9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천만 달러(6.7%) 감소.
전년동기대비 대미 농식품 수출이 줄어든 것은 2023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에 처음이며, 핵심 품목인 라면의 지난달 대미 수출액은 1천 400만달러로 17.8% 감소.
과자류는 지난달 대미 수출액이 2천만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25.9%, 약 700만달러 감소했음.
소스류는 7.2% 줄어든 700만 달러이며, 인삼류(-13.4%) 등도 지난달 대미 수출이 감소.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 관세의 여파로 K푸드 대미 수출이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식품기업 관계자는 “미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편관세 10% 이후 일부 품목은 가격이 올랐고 이제 상호관세로 가격이 추가로 오를 텐데 아무래도 소비 감소는 불가피하다”며 “판매가 줄어 미국 유통업체들이 발주량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미국 경기 침체 우려에 소비 심리가 둔화한 것도 한국 식품업계에 부정적인 신호이며, 최근 미국의 AP-NORC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의 57.0%는 식료품비 지출이 주된요인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짐.
- 삼양식품, 에스앤디, 한울앤제주, 노바렉스, 에르코스 등 음식료업종 테마가 하락.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등
국제유가 약세 영향 등에 하락
▷지난밤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국제유가는 우크라戰 협상 기대감 등에 약세.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07달러(-1.69%) 하락한 62.35달러에 거래 마감.
▷지난 1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및 유럽 정상들과 개최한 연쇄 회담을 마친 뒤 러시아-우 크라이나 정상회담을 조율하기 시작했다고 밝힘.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 시아 대통령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만나 평화 협상을 하는 것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푸틴이 잘해주길 바란다. 젤렌스키도 해야 할 일을 할 것이다. 젤렌스키는 어느 정도 유연함을 보여줘야 한다”고 언급했음. 이어 “그 결과가 어떻게 될지 지켜보겠다. 만약 잘 된다면 내가 3자회담에 참여해 일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SK이노베이션, S-Oil, 중앙에너비스, 흥구석유, 극동유화, SH에 너지화학, 삼천리 등 정유/LPG(액화석유가스)/셰일가스(Shale Gas)/도시가스 테마가 하락.
마무리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에 따른 김밥 글로벌 인기 지속 부각 등에 김밥(냉동김밥 등) 테마 상승.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세율25% 적용 ‘소득세법 개정안’ 대표 발의 소식 등에 일부 지주사, 생명보험/손해보험, 은행 등 테마 상승.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카지노, 일부 여행/ 화장품/ 엔터테인먼트/ 면세점 등 중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이 외에 백화점, 자동차 대표주, 타이어, 조선, 마이크로 LED, 소매유통 등 일부 테마만이 상승.
▷반면, 트럼프 행정부, 철강·알루미늄 제품 관세 범위에 변압기 등 확대 적용 공식화 소식 등에 전력설비/ 전선 테마 하락. 건설기계/ 전기차/ 자동차부품 등의 테마도 하락.
▷체코 원전 ‘불공정계약’ 논란 지속 속 美·유럽 등 해외 수주 차단 우려 부각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하락.
▷’AI 거품론’ 제기 속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영 향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HBM(고대역폭메모리),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퓨리오사AI,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등 AI 관련 테마도 하락.
▷비트코인 가격 11만3천달러 선으로 후퇴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Dunamu) 테마 하락.
▷한국은행, 국회에 달러 스테이블코인 규제 강화 촉구 소식 속 스테이블코인, SI(시스템통합), 전자결제(전자화폐), STO(토큰증권 발행) 등 테마 하락.
▷K푸드 대미 수출 감소 소식에 음식료업종 테마 하락.
▷국제유가 약세 영 향 등에 일부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등 테마 하락.
▷이 외에 유심(USIM), 지역화폐, 피팅(관이음쇠)/ 밸브, 일자리(취업), 풍력에 너지, 마리화나(대마),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2차전지(나트륨이온),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파크, 네옴시티, 맥신(MXene),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전력저장장치(ESS), CCTV & DVR, 항공기부품, 마이데이터, 해저터널(지하화/지하도로 등), 희귀금속(희토류 등), 양자암호/양자컴퓨팅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의 테마가 하락.